메뉴

뉴스섹션

전체기사 보기

2026년 생활폐기물 매립금지 수원-오산 직격탄, 화성 아직 여유

수원, 소각장 부지 공모 난항 오산 소각장 부지 자체 확보 어려워 화성 시간과 집중의 문제이지 소각장 신설 자체는 큰 문제 아냐!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경기 남부 인구과밀지역인 수원, 오산, 화성의 명암이 엇갈릴 전망이다. ▲ 사진 좌측으로부터 이재준 수원특례시장(민주당), 정명근 화성특례시장(민주당), 이권재 오산시장(국민의힘) 먼저 수원은 지난 2000년대 초반 만들어진 300톤 규모의 영통 소각장이 지난 2010년부터 과포화 상태에 이르렀으며, 2015년 이후에는 소각장 수명이 다했다며 소각장의 이전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수원은 영통 소각장 소각로의 평균수명인 15년을 훨씬 상회하는 25년째 같은 소각장의 소각로를 사용하고 있다. 수원시는 대보수를 통해 연장사용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반복하며 소각장 이전을 요구하는 주민들의 요구를 에둘러왔다. 이어 현 이재준 수원시장이 집권하면서 기자회견을 통해 소각장 이전을 하겠다는 약속은 했으나 “임기 내에”라는 말은 하지 않았다. 그리고 관내 지역에 소각장 신설을 위해 공고를 냈으나 이에 응모한 지역이 없어 사실상 수원시의 소각장 사업은 실패에 가까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