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오세영 시인의. 1월




                                       1월 / 오세영

                                  1월이 색깔이라면
                                 아마도 흰색일 게다
                                 아직 채색되지 않은
                                 신의 캔버스 
                                 산도 희고 강물도 희고
                                 꿈꾸는 짐승 같은
                                 내 영혼의 이마도 희고


                                1월이 음악이라면
                               속삭이는 저음일 게다
                               아직 트이지 않은
                               신의 발성법 가지 끝에서
                               풀잎 끝에서
                               바람은 설레고


                              1월이 말씀이라면
                              어머니의 부드러운 육성일 게다
                              유년의 꿈길에서
                              문득 들려오는 그녀의 질책
                             “아가, 일어나거라 벌서 해가 떴단다.”
                              아! 1월은
                              침묵으로 맞이하는 
                              눈부신 함성 
 

오세영(吳世榮, 1942년 5월 2일~ )은 전남 영광에서 출생하여 광주, 전주 등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고 서울대 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68년 ‘현대문학’에 〈잠깨는 추상〉이 추천 완료되면서 등단하였다. <반란하는 빛>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 <無明 戀詩>등 다수의 작품이 있고 시론집 <시의 길, 시인의 길>이 있음

<해설/ 윤형돈>

인간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無明‘이라는 깨달음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는 시인이 있다. 절제와 균형의 형이상학적 의미가 담긴 시를 써온 시인의 행간 곳곳에 정제된 삶의 은유가 살포시 드러난다. 그의 시편 저변에 흐르는 키워드는 한낱 無我를 깨닫지 못하고 自我에 집착하는 無知의 상태를 여지없이 꼬집고 만다.

여기서 그는 세 개의 가정(假定)으로 未明과 같은 1월의 문을 확연히 열어 제치고 있다. 1월이 색깔이라면 흰색이요, 음악이라면 저음, 말씀이라면 어머니의 부드러운 육성이라고 첫 달의 의미를 치환한 것이다. 채색되지 않은 신의 캔버스와 같은 창세기의 하늘과 땅 아래서 금단의 열매를 따 먹은 인간은 부끄러움을 알아 무화과 잎사귀로 치부를 가리는 착한 영혼의 이마를 갖고 있었나보다. 그러나 아직은 ‘꿈꾸는 짐승’에 불과하다.

다음으로 1월의 얼음장 밑으로 흐르는 음악은 분명 낮은 음부의 희망의 속삭임이 틀림없다. 꽃이 줄기에 달리는 거와 같은 삶의 방식은 ‘花序’의 기품 있는 운율로 나아갈 조짐을 보이겠지만, 아직 ‘트이지 않은 신의 발성법’은 무엇일까? 혹여 내 영혼의 그윽히 깊은 데서 울려 나오는 그 옛날의 맑고도 순진 무후한 하늘곡조는 아니었을까

또한, 1월이 말씀이라면 유년의 아가를 채근하는 어머니의 부드러운 음성이요, 움트는 새 순을 다독이는 침묵의 자장가를 불러 주리라! 아하, 그렇게 하얀 상아 건반을 두드리는 묵시의 내재율이 설빙의 1월을 ‘눈부신 함성’으로 건너가고 있다.


포토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