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사랑/ 문정희 눈송이처럼 너에게 가고 싶다. 머뭇거리지 말고 서성대지 말고 숨기지 말고 그냥 네 하얀 생에 속에 뛰어들어 따스한 겨울이 되고 싶다. 천년 백설이 되고 싶다. 문정희 시인 1947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출생. 동국대 국문과와 同 대학원 졸업. 서울여대 신학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 받음. 1969년 《월간문학》신인상 당선을 통해 등단. 저서로는 시집으로 『찔레』, 『아우내의 새』, 『남자를 위하여』를 비롯하여 한국 대표시인 100인 시선집 『어린 사랑에게』과 시극집 『도미』등 다수 있음. '현대문학상'과 '소월시문학상'을 수상. 현재: 동국대 명예교수 시 읽기 / 윤형돈 문정희 시인의 ‘겨울 사랑’ 방식은 지극히 간단하고 쉽다 나이 불문코 사랑을 소원하는 世人이면 누구나 단박 도전이 가능하다. 아니 간단하다 못해 단순명료하고 복잡하지 않다 사랑의 소품이나 배경도 특별한 도구나 절기가 필요한 게 아니다 그냥 ‘눈송이처럼’ 투명한 얼음 결정체가 내리는 게슴츠레한 겨울날이면 족하다. 좁은 문의 제롬처럼 내성적으로 머뭇거리거나 주저하고 꾸물거리거나 굼뜰 이유도 하등 필요 없다. 게다가 비극의
가면 간다고 말이나 하지 오면 온다고 말이나 말지 불숙이 왔다 휑하니 가고 차고 넘치는 소금 항아리에 반쯤이나 남은 달빛이 쳐들어간다. 가면 간다고 말이나 하지 벌렁대는 새가슴은 혹시나 행여나 기다려본다 작가 : 판타
1월/ 오세영 1월이 색깔이라면 아마도 흰색일 게다 아직 채색되지 않은 신의 캔버스 산도 희고 강물도 희고 꿈꾸는 짐승 같은 내 영혼의 이마도 희고 1월이 음악이라면 속삭이는 저음일 게다 아직 트이지 않은 신의 발성법 가지 끝에서 풀잎 끝에서 바람은 설레고 1월이 말씀이라면 어머니의 부드러운 육성일 게다 유년의 꿈길에서 문득 들려오는 그녀의 질책 “아가, 일어나거라 벌서 해가 떴단다.” 아! 1월은 침묵으로 맞이하는 눈부신 함성 오세영(吳世榮, 1942년 5월 2일~ )은 전남 영광에서 출생하여 광주, 전주 등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고 서울대 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1968년 ‘현대문학’에 〈잠깨는 추상〉이 추천 완료되면서 등단하였다. <반란하는 빛> <가장 어두운 날 저녁에> <無明 戀詩>등 다수의 작품이 있고 시론집 <시의 길, 시인의 길>이 있음 <해설/ 윤형돈> 인간존재의 실존적 고뇌를 ‘無明‘이라는 깨달음을 통해 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는 시인이 있다. 절제와 균형의 형이상학적 의미가 담긴 시를 써온 시인의 행간 곳곳에 정제된 삶의 은유가 살포
시대유감 하늘은 언제나 높으나 사람은 권력이 더 높다 한다. 하면 된다는 신념아래... 권력은 역사도 바꿀 수 있고 철학도 바꿀 수 있다고 무엇이던 하면 된다며 우러러 보지 않는 자를 경멸하며 지붕위의 고고한 한 마리 닭처럼 권력은 자신이 하늘보다 귀한 존자라고 한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권력을 쥐고 태어나 세상의 모든 것이 자신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합당하다고 굳게 믿고 있는 권력은 단 한 번도 왜 자신의 고집을 꺾어야만 하는 지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 오만한 권력에게 핑계는 자연스런 문고리이며 약속은 봄바람일 뿐이다. 오만한 권력을 향한 지적은 체제전복이며 종북이고 귀한 존자를 이해 못하는 하층민들의 아우성일 뿐 그럼에도 아우성이 촛불이 되고 촛불이 횃불이 되고 횃불이 용암처럼 변해서 하늘이 무섭고 땅이 두려우며 사람이 권력 앞에 있다는 것을 오만한 권력은 모른다 작자 : 판타
오입질 좋아한다더니 그놈, 그년을 따라 가고 꽃피는 계절이 수 삼년 흘러 그놈, 그년을 닮은 애새끼들 줄줄이 사탕일세! 작자 : 판타
가끔 또는 문득 그리운 사람이 뚜벅 뚜벅 걸어와 환하게 웃는 그런 가을이 좋다. /판타
몸 되어 사는 동안 시간을 거스를 아무도 우리에겐 없사오니, 새로운 날의 흐름 속에도 우리에게 주신 사랑과 희망―당신의 은총을 깊이깊이 간직하게 하소서. 육체는 낡아지나 마음으로 새로웁고 시간은 흘러가도 목적으로 새로워지나이다 목숨의 바다―당신의 넓은 품에 닿아 안기우기까지 오는 해도 줄기줄기 흐르게 하소서. 이 흐름의 노래 속에 빛나는 제목의 큰 북소리 산천에 울려 퍼지게 하소서 작가소개: 김현승(金顯承,1913~1975)시인은 전남 광주 출생으로 1934년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이 양주동의 천거로 "동아일보"에 발표되면서 등단하였다. 기독교적인 경건성에 뿌리를 두고 인간 존재의 운명과 내면세계를 주로 노래하였다. 시집으로 "김현승 시초"(1957), "옹호자의 노래"(1963), "절대 고독"(1970) 등이 있다. “네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그리던 내일이다”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시간의 연속선상 위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쳇바퀴가 속절없이 돌아간다. 아니, 시간의 날개 달린 전차가 등 뒤로 지나가는 소리를 무시로 듣는다. 육신의 몸으로 지상에 생명을 부여받고 사는 동안 그 엄연한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