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김동연 경기도지사, 한미 관세 협상 타결 후 긴급 특별대책 회의 소집

"불확실성 해소, 경기도 기업 지원 강화"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직후, 경기도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특별대책 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김 지사는 가평 수해복구 현장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마친 직후 회의에 참석, 협상 결과에 따른 경기도 차원의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 사진 경기도청 제공

 

경기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 추가 지원

 

이번 회의에서 김동연 지사는 특별경영자금 500억 원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은 한미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이 해소된 상황에서, 시장 개방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경기도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치다. 특히 자동차 부품업체, K-뷰티, K-식품 등 소비재 수출 중소기업들이 주 대상이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이미 지난 4월, **‘미국산 시장개방 피해기업특별경영자금’**으로 500억 원을 지원한 바 있으며, 이번 추가 지원으로 지원 규모는 총 1,000억 원으로 확대된다. 현재까지 90개 업체에 399억 원이 지원되었으며, 이번 추가 지원을 통해 더 많은 기업들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지사는 “관세 부과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는 경기도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신속히 특별경영자금을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며, “기업당 최대 5억 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사업 확대 검토

 

또한, 경기도는 현재 **6대 품목(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철강, 알루미늄, 구리)**에 대해 진행 중인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을 확대할 계획을 밝혔다. 이번 협상 타결로 화장품과 의료기기 분야 등 추가적인 피해가 예상되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 지사는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한 후 화장품과 의료기기 등도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 사업에 포함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감액추경에서도 관세대책 예산 제외

 

경기도는 현재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김동연 지사는 “감액추경 시에도 관세협상 관련 대책 예산은 제외하고, 오히려 필요하다면 이를 증액하여 지원할 것”이라고 단호히 말했다.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 재원 마련 등 여러 사업의 예산을 조정해야 하지만, 경기도의 기업 지원을 위한 예산은 반드시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무역위기 대응 시즌2’ 회의체 구성

 

이번 회의는 일회성 대응을 넘어서, 향후 **‘무역위기 대응 시즌2’**를 준비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전망이다. 김 지사는 “이번 관세 협상 결과를 뒷받침하고, 피해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향후 2차, 3차 회의가 소집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협상 결과에 대한 김동연 지사의 평가

 

김동연 지사는 이번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불확실성을 해소한 것이 이번 협상에서 가장 큰 성과”라고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높이 평가했다.

  • 첫째, “다른 경쟁국보다 불리하지 않은 결론을 도출한 점”

  • 둘째, “시한 내 협상 결과 도출로 시장에 안정감을 준 점”

  • 셋째, “쌀이나 소고기 등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을 잘 방어한 점”

  •  

김 지사는 또한, 한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킨 외교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윤석열 정부의 외교가 정상화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번 협상이 국가적인 의미를 지닌 중요한 성과로 기록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국정의 제1동반자로서의 역할 다짐

 

마지막으로 김동연 지사는 “이제 여야를 떠나, 모두가 국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며, 경기도가 국정의 제1 동반자로서 최선을 다할 것임을 다짐했다. 그는 “경기도는 앞으로도 국정의 성공을 위해 각오를 다져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토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