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문화원(원장 김은호)은 평택의 역사‧지리‧문화‧사회‧환경 등 다양한 주제로 '평택학 시민강좌-우리음악과 평택'을 오는 11월 19일 개강한다.

시민로부터 큰 호응을 얻어 올해 6년째를 맞이하는 ‘평택학 시민강좌’는 주제별․분야별 권위 있는 향토사학자, 대학교수 등의 전문 강사진으로 구성되어 역사를 재미있고 자세하게 알 수 있도록 진행된다. 강좌는 11월 19일부터 11월 30일까지(월요일~금요일) 2주 간 오후 7시 평택남부문화예술회관 3층 세미나실에서 전체 10강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다.
평택학 시민강좌는 평택시가 주최하고 평택문화원이 주관하여 평택의 다양한 영역에 걸친 역사·문화 강좌를 진행하여 인문 정신의 풍요로움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2013년부터 평택문화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11월 19일(월), 전통연희에 담긴 삶과 문화(박혜영 한국예술종합학교)
▲11월 20일(화), 풍물과 사물놀이 그리고 전문예인집단(정재호 한국전통연희단체총연합회)
▲11월 21일(수), 음악과 춤을 사랑한 한민족의 음악이야기(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11월 22일(목), 평택지역 민속문화의 지역적 배경(김해규 평택지역문화연구소)
▲11월 23일(금), 옛 그림 속 우리 음악(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11월 26일(월), 우리 무당굿의 다양성(홍태한 전북대학교)
▲11월 27일(화), 우리의 전통탈춤(허창열 천하제일탈공작소)
▲11월 28일(수), 우리음악과 평택, 평택의 전통예인(박성복 평택시사신문)
▲11월 29일(목), 왕실음악기관 장악원(송지원 서울대학교)
▲11월 30일(금), 민간에서 전해오는 노래들(김인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평택문화원 김은호 원장은 "평택시민들이 평택학 시민강좌를 통해 평택의 역사적 지식과 더불어 인문학적 소양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2018 평택학 시민강좌는 무료 공개강좌로 이루어지며, 평택시민뿐만 아니라 누구나 수강이 가능하다. 문의 및 수강신청은 평택문화원(031-656-0600)으로 하면 된다.
김성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