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뷰) 경기도교육청이 ‘2024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예산안’ 21조 9,939억원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
제출한 예산안은 23년도 본예산 22조 3,345억원보다 3,406억원 감소한 것이다.
도교육청은 예산 감소에 따른 건전재정 기조를 확립하면서도 핵심 교육사업에 집중해 투자하기 위해 에듀테크 활용 학력 향상 및 미래교육 체제 구축 교육활동 보호 강화 공교육 책임 확대 및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등에 중점을 두고 예산안을 편성했다.
특히 특수교육의 새로운 도약과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경기특수교육 활성화 3개년 계획에 따른 특수교육 활성화에 500억원, 과대학교·과밀학급 해소에 4,078억원, 지역사회 협력에 기반한 학생 수요 맞춤형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지역교육협력 플랫폼에 228억원을 편성했다.
또 학교로 교부하는 목적사업비를 대폭 줄이고 학교기본운영비를 늘려 학교 현장 예산 운영의 자율성을 강화했다.
2024년 예산 규모는 총 21조 9,939억원으로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17조 3,230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3조 5,521억원 기타수입 및 순세계잉여금 2,188억원 기금전입금 9,000억원이다.
주요 세출예산안은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1,947억원 미래교육 체제 구축 5,670억원 교원의 미래교육 전문성 강화 227억원 경기형 미래역량교육 운영 89억원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1,403억원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618억원 균형 있는 인성·시민교육 운영 8억원 교육활동 보호 강화 75억원 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2조 8,846억원 공교육 책임 확대 1조 3,318억원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2,580억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3조 7,111억원 미래지향적 교육 행정 체계 구축 586억원 학교 지원 행정 강화 12조 7,461억원을 편성했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학력 향상 사업은 기초학력책임지도제 운영 370억원 학교 정보화 여건 개선 953억원 ICT 활용 교육 460억원 에듀테크 기반 교수학습 지원 등 164억원이다.
미래 교육 체제 구축사업은 지역교육협력 플랫폼 228억원 미래교육협력지구 운영 155억원 과밀학급·과대학교 해소 및 학생 통학 지원 4,503억원 기초지자체 교육협력사업 등 784억원이다.
교원의 미래교육 전문성 강화 사업은 교원 자격연수 120억원 교원역량 강화 등 90억원 국제문화교류협력 지원 17억원이다.
경기형 미래역량교육 운영은 국제바칼로레아교육 운영 46억원 디지털시민교육 운영 43억원이다.
미래형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 구축 사업은 외국어 교육 활성화 등 273억원 대학수학능력시험 269억원 도서관 운영 및 학교 도서관 지원 202억원 학력평가 관리 140억원 과학실 구축 및 과학교육 내실화 133억원 유아교육 지원 104억원 문화예술교육활동지원 102억원 등이다.
학생 맞춤형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사업은 특성화고 운영지원 356억원 진로진학 및 직업교육 운영 149억원 특성화고 실습기자재 확충 113억원이다.
균형 있는 인성·시민교육 운영은 인성교육 6억원 민주·세계시민교육 2억원이다.
교육활동 보호 강화 사업은 교권보호 지원 45억원 학생생활지도 운영 30억원이다.
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사업은 공립 학교운영비 및 사립 운영비 재정지원 2조 7,546억원 사립유치원 지원 1,140억원 학원 및 평생교육 운영지원 145억원 등이다.
공교육 책임 확대 사업은 누리과정 지원 1조 67억원 어린이집 급식비 등 유보통합 운영 681억원 늘봄학교·돌봄교실·방과후학교 운영지원 1,616억원 특수교육 지원 954억원 등이다.
교육 사각지대 학생 지원 사업은 교과서 지원 1,823억원 교육급여 및 교육비 지원 575억원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등 자녀교육 지원 92억원 대안교육 및 교육복지 우선 지원 62억원 등이다.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은 교육환경·시설안전 개선 1조 3,743억원 학교 신·증설 1조 384억원 학교급식 운영 7,639억원 학교 급식기구 및 시설 확충 1,468억원 교직원 복지지원 873억원 학교 체육시설 여건 개선 및 학교체육 활성화 지원 등 779억원 등이다.
미래지향적 교육행정 체계 구축 사업은 교원 및 교육전문직 인사 운영 430억원 지방공무원 인사관리 및 역량 강화 72억원 경기도교육연구원 운영지원 58억원 등이다.
학교 지원 행정 강화 사업은 교직원 인건비 12조 1,718억원 BTL운영비 3,601억원 기관 기본 운영 및 시설관리 777억원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408억원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296억원 교육정책 기획 및 홍보 100억원 예비비 350억원 등이다.
도교육청 서혜정 정책기획관은 “이번 2024년 예산안은 자율·균형·미래 기조하에 추진하는 경기교육 기본계획과 연계해 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한 핵심 교육사업 중점 투자, 교육 현장의 여건과 사정에 맞는 재정 운용 자율성 강화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이 제출한 2024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은 오는 11월 7일부터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 예정이다.